(베이즈 통계학 기초) 복수의 정보를 얻었을 때의 추정(1)

(베이즈 통계학 기초) 복수의 정보를 얻었을 때의 추정(1)

2019, Mar 03    


복수의 정보를 바탕으로 베이즈 추정을 실시한다.


  • 앞의 글에서 다룬 베이즈 추정은 정보 획득을 1회로 한정하였습니다.
  • 예를 들어 손님이 말을 거는가 걸지 않는가, 한 종류의 암 검사, 동료가 초콜릿을 주는가 주지 않는가 등 이었습니다.
  • 추정이란 일반적으로 복수의 정보로 부터 이루어 집니다. 따라서 복수의 정보를 얻었을 때, 어떻게 추정하는 지 이해해야 합니다.
  • 뿐만 아니라 베이즈 추정은 복수의 정보를 얻었을 때의 추정에 관해 상당히 중요한 성질을 지니고 있습니다.


두 종료의 시행을 조합하려면


  • 직면한 현상의 귀결에 복수의 가능성이 있어서 각각의 가능성에 확률을 할당할 수 있는 경우 그 현상을 시행 이라고 합니다.
    • 예를 들어 주사위를 던져서 나올 수 있는 눈의 가능성은 복수개 이기 때문이 시행이라고 합니다.
  • 만약 두 종류의 시행이 있을 때, 그 두 가지를 묶어 그것을 또 다른 시행으로 본다면 그 귀결에 대한 각각의 확률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.
  • 예를 들어 제 1시행은 동전 던지기이고 제 2시행은 주사위 던지기라면 제 1시행과 제 2시행을 결합하여 제 3 시행을 만들 수 있습니다.
  • 이와 같은 시행을 직적시행이라고 하는데, 이 용어는 격자 모양에 시행을 늘어 놓았다는 의미입니다.


Drawing


  • 위 예제와 같은 경우 직적 시행의 결과는 12가 됩니다.


독립된 직적시행의 확률은 곱셈으로 구할 수 있다.


  • 두 개의 시행이 독립되어 있다는 것은 한쪽 시행의 귀결이 다른 쪽 시행의 귀결에 영향을 주지 않는 다는 것을 뜻합니다.
  • 예를 들어 동전 던지기는 일반적으로 독립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 왜냐하면 앞의 시행이 현재 시행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입니다.
  • 반면 서울의 비올 확률과 수원의 비올 확률은 완전히 독립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. 왜냐하면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기 때문에 한쪽이 비 올 확률이 높으면 다른쪽도 높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.
    • 이런 상태를 독립 시행과 반대로 종속 시행이라고 합니다.


Drawing


  • 위 그림을 보면 동전의 앞면이 나왔을 때의 주사위의 눈이 나올 확률과 동전의 뒷면이 나왔을 때의 주사위의 눈이 나올 확률이 정확히 일치 합니다.
  • 즉, 동전 던지기의 시행 결과가 주사위의 눈이 나올 확률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뜻이 됩니다.
  • 확률을 나타내는 직사각형 전체 면적을 1이라고 한다면 정규화 조건에 따라 각 격자는 1/12의 확률을 가집니다.
  • 직사각형이 12개의 격자로 나뉘게 된 이유는 동전의 2가지 경우의 수와 주사위의 6가지 경우의 수를 곱한 것이기 때문입니다.


독립시행의 확률에 승법 공식


  • 위의 동전 던지기와 주사위 던지기의 사례는 사실 굉장히 극단적인 사례입니다.
  • 왜냐하면 동전 던지기도 시행의 확률이 모두 같고 주사위 던지기 또한 각 시행의 확률이 모두 같기 때문에 전체 직사각형 격자들의 넓이가 모두 1/12로 같았습니다.
  • 이번에는 격자의 넓이가 다른 일반적인 케이스에 대하여 다루어보겠습니다.


Drawing


  • 위 예와 같이 제 1시행의 귀결은 a,b,c,d이고 제 2시행의 귀결은 x, y, z 라고 하겠습니다.
  • 이 중 행 또는 열을 보면 격자의 넓이가 각각 다른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  • 그러나 각 행 또는 열 내부에서의 시행 별 격자의 넓이(확률)는 동일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    • 예를 들어 첫 번째 행과 두 번쨰 행 내부 격자의 대응되는 값들은 서로 똑같습니다. (\(a\) : \(b\) : \(c\) : \(d\))
  • 즉, 제 1시행과 제 2시행은 서로 독립이란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  • 여기서 중요한 것은 독립 시행의 확률의 경우에는 위 처럼 직사각형 형태로 나타낼 수 있고, 각 시행의 확률이 격자의 가로 또는 세로의 길이가 되므로 격자의 넓이 = 가로 x 세로가 된다는 것입니다.
  • 즉, 독립 시행에서의 복수의 시행 확률은 격자의 넓이를 구하듯이 각 시행의 확률을 서로 곱해주면 된다는 것입니다.
    • 이 방식을 독립 시행 확률의 승법 공식 이라고 합니다.
    • ex) (a & x 확률) = (a & x직사각형 면적) = (a확률) x (x확률)


  • 정리하면 두 가지 시행을 묶은 직적시행은 직사각형을 격자 모양에 분할하여 그림으로 표시합니다.
  • 두 가지 시행이 독립되어 있다는 것은 직관적으로 생각할 때, 한쪽의 귀결이 다른 쪽 귀결이 일어나는 데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입니다.
  • 두 가지 시행이 독립되어 있을 때, 다음과 같은 확률의 승법 공식이 성립합니다.
    • 제 1시행의 귀결이 \(a\) 이고 제 2시행의 귀결이 \(b\)이 x일 확률 = (\(a\)확률) * (\(b\)확률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