행공간, 열공간, 영공간과 계수

행공간, 열공간, 영공간과 계수

2020, Aug 26    


선형대수학 글 목차


  • 이번 글에서는 행공간 (row space), 열공간 (column space), 영공간 (null space)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
행공간(Row Space), 열공간(Column Space), 영공간(Null Space)의 정의


  • 행공간 (Row Space)는 \(m \times n\) 행렬 \(A\) 의 행벡터 \(A_{1}, A_{2}, ..., A_{m}\) 에 의해 생성된 \(\mathbb{R}^{n}\) 의 부분공간 \(\text{Row}(A) = \text{Span}(A_{1}, A_{2}, ..., A_{m})\) 을 의미합니다.
  • 위 표기에서 \(\mathbb{R}^{n}\) 은 각각의 행벡터를 구성하는 성분은 \(n\) 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\(\mathbb{R}^{n}\) 의 부분공간으로 표기합니다.
  • 행공간의 기저는 사다리꼴 행렬에서 피봇이 존재하는 행을 선택합니다.


  • 열공간 (Column Space)는 \(m \times n\) 행렬 \(A\) 의 열벡터 \(A^{(1)}, A^{(2)}, A^{(1)}, ... , A^{(n)}\) 에 의해 생성된 \(R^{m}\) 의 부분공간 \(\text{Col}(A) = \text{Span}(A^{(1)}, A^{(2)}, ... , A^{(n)})\) 을 의미합니다.
  • 열공간의 기저는 행렬 \(A\) 에서 피봇이 존재하는 열을 선택합니다.


  • 행공간과 열공간에서 선택되는 기저가 행공간에서는 사다리꼴 행렬에서 선택하고 열공간에서는 기존 행렬 \(A\) 에서 선택하는 지는 본 글에서 설명드리곘습니다.


  • 영공간 (Null Space)는 \(m \times n\) 행렬 \(A\) 를 계수행렬로 가지는 제차연립방정식( \(Av = 0\) )의 해집합으로 \(\text{Null}(A) = \{v \in \mathbb{R}_{n} \vert Av = 0 \}\) 으로 표기합니다.
  • 영공간의 기저는 연립방정식을 풀어야 구할 수 있습니다.
  • 영공간의 해집합이기 때문에 해가 유일하게 1개일 수도 있고 해가 없을 수도 있으며 무한히 많은 해를 가질 수도 있습니다.


  • 공간 (Space)의 의미는 벡터 공간 (Vector Space)의 의미를 가지고 행공간과 열공간은 Span을 이용하여 표현하기 때문에 부분 공간이 됨을 만족합니다.
  • 하지만 영공간의 경우 단순히 제차연립방정식의 해를 만족하는 집합인데 이 공간이 과연 벡터 공간의 성질을 만족하는 지는 별도 확인이 필요합니다. 이 내용을 먼저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


  • (정리 12) \(m \times n\) 행렬 \(A\) 의 영공간은 \(\mathbb{R}^{n}\) 의 부분공간이다.


  • 아래 3가지 내용을 차례로 증명하면 위 정리 12를 증명할 수 있습니다. 아래 3가지 내용은 벡터 공간을 구성하기 위한 조건에 해당합니다.


  • 1) \(0 \in \text{Null}(A)\)

  • 2) \(u, v \in \text{Null}(A) \Rightarrow u + v \in \text{Null}(A)\)

  • 3) \(u \in \text{Null}(A), c \in R \Rightarrow cu \in \text{Null}(A)\)


  • 위 3가지 내용을 차례로 증면하면 아래와 같습니다.


  • 1) \(A0 = 0\) 이므로 \(0 \in \text{Null}(A)\) 을 만족합니다.

  • 2) \(u, v \in \text{Null}(A)\) 이면 \(Au = 0\) 이고 \(Av = 0\) 이므로 \(A(u + v) = Au + Av = 0 + 0 = 0\) 입니다.

  • 3) \(u \in \text{Null}(A)\) 와 \(c \in \mathbb{R}\) 에 대하여 \(Au = 0\) 이므로 \(A(cu) = c(Au) = c0 = 0\) 입니다. 따라서 \(cu \in \text{Null}(A)\) 입니다.


  • 그러면 행공간, 열공간, 영공간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.
  • 앞에서 정의한 행공간은 \(\text{Row}(A) = \text{Span}(A_{1}, A_{2}, ..., A_{m})\) 형태를 따르고 만약 행벡터 \(A_{1}, A_{2}, ..., A_{m}\) 가 모두 일차 독립이라면 모두 기저가 되고 일차 종속인 행벡터가 있다면 Row Echelon Form 형태의 사다리꼴 행렬 ( \(\mathbb{R}\) )을 만들어 정리할 수 있습니다.
  • 이 때, 사다리꼴 행렬에서 피봇이 존재하는 행을 선택하면 기저에 해당하는 행공간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. 주의할 점은 행공간의 기저는 \(A\) 행렬 또는 \(\mathbb{R}\) 행렬에서 모두 선택할 수 있지만, Row Echelon Form 형태로 만들 시 행 간의 교환이 발생하면 \(\mathbb{R}\) 에서 구한 기저가 \(A\) 에서 구한 기저와 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.
  • 기본행 연산을 이용하여 행렬의 변화가 발생할 때, 행공간은 변하지 않는 다는 성질을 이용하면 행공간은 사다리꼴 행렬에서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. 물론 원본 행렬 \(A\) 에서 행공간을 가져올 수 있으나 교환에 대한 추적을 정확히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.


  • 반면 열공간은 사다리꼴행렬 \(\mathbb{R}\) 에서 얻은 기저를 직접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사다리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열공간의 기저의 위치를 확인한 후 원본 행렬 \(A\) 에서 기저의 위치에 해당하는 열을 가져와서 사용합니다.
  •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이유는 기본행 연산을 통해 얻은 사다리꼴 행렬에서 열의 정보는 보존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.


  • 아래 예제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


  • \(A = \begin{bmatrix} 1 & -3 & 2 \\ -5 & 9 & 1 \end{bmatrix}\) 일 때, 영공간을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

  • \[A = \begin{bmatrix} 1 & -3 & 2 \\ -5 & 9 & 1 \end{bmatrix}\]
  • \[\Rightarrow \begin{bmatrix} 1 & -3 & 2 \\ 0 & -6 & -11 \end{bmatrix}\]


  • 위 사다라꼴 행렬 식에서 pivot이 생긴 열은 선행 변수라고 하며 pivot이 없는 열은 자유 변수라고 합니다.
  • 1열과 2열은 각각 1, -6 이라는 피벗이 있기 때문에 선행 변수가 존재하며 3열은 피벗이 없기 때문에 자유 변수가 존재합니다.
  • 따라서 위 사다리꼴 행렬 에서 첫번째 행이 행공간이 되고 원본 행렬에서 첫번째 열이 열공간이 됩니다.


  • \[\text{Row}(A) = \text{Span}\Biggl( \begin{bmatrix} 1 & -3 & 2 \end{bmatrix} \Biggr)\]
  • \[\text{Col}(A) = \text{Span}\Biggl( \begin{bmatrix} 1 \\ -5 \end{bmatrix} \Biggr)\]


  • 아래 쉬운 예제를 통하여 먼저 영공간에 대한 이해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


  • \[\begin{bmatrix} 1 & -3 & 2 \\ 0 & -6 & -9 \end{bmatrix} \begin{bmatrix} x_{1} \\ x_{2} \\ x_{3} \end{bmatrix} = \begin{bmatrix} 0 \\ 0 \\ 0 \end{bmatrix} \tag{1}\]


  • \[x_{3} = a \tag{2}\]
  • \[-6x_{2} -9x_{3} = 0 \tag{3}\]
  • \[x_{2} = -\frac{3}{2}a \tag{4}\]


  • \[x_{1} - 3x_{2} - 2x_{3} = 0 \tag{5}\]
  • \[x_{1} = -\frac{9}{2}a + 2a = -\frac{5}{2}a \tag{6}\]


  • \[\text{Null}(A) = \left\{ \begin{bmatrix} -\frac{5}{2}a \\ -\frac{3}{2}a \\ a \end{bmatrix} \vert a \in \mathbb{R} \right\} \tag{7}\]
  • \[= \left\{ -\frac{a}{2} \begin{bmatrix} 5 \\ 3 \\ -2 \end{bmatrix} \vert a \in \mathbb{R} \right\} \tag{8}\]


  • 영공간을 식 (8) 과 같이 정리할 수 있고 \(Av = 0\) 의 해를 얻은 영공간은 독립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Span 형태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.


  • \[\text{Null}(A) = \text{Span}\Biggl( \begin{bmatrix} 5 \\ 3 \\ -2 \end{bmatrix} \Biggr) \tag{9}\]


  • 조금 더 복잡한 예제를 통하여 행공간, 열공간, 영공간을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

  • \[A = \begin{bmatrix} -3 & 6 & -1 & 1 & -7 \\ 1 & -2 & 2 & 3 & -1 \\ 2 & -4 & 5 & 8 & -4 \end{bmatrix} \tag{10}\]


  • 위 행렬을 사다리꼴로 만들어 보도록 하곘습니다.


  • \[\Rightarrow \begin{bmatrix} 1 & -2 & 2 & 3 & -1 \\ -3 & 6 & -1 & 1 & -7 \\ 2 & -4 & 5 & 8 & -4 \end{bmatrix} \tag{11}\]
  • \[\Rightarrow \begin{bmatrix} 1 & -2 & 2 & 3 & -1 \\ 0 & 0 & 5 & 10 & -10 \\ 0 & 0 & 1 & 2 & -2 \end{bmatrix} \tag{12}\]
  • \[\Rightarrow \begin{bmatrix} 1 & -2 & 2 & 3 & -1 \\ 0 & 0 & 5 & 10 & -10 \\ 0 & 0 & 1 & 2 & -2 \end{bmatrix} \tag{13}\]
  • \[\Rightarrow \begin{bmatrix} 1 & -2 & 2 & 3 & -1 \\ 0 & 0 & 1 & 2 & -2 \\ 0 & 0 & 0 & 0 & 0 \end{bmatrix} \tag{14}\]


  • 따라서 행공간의 기저는 다음과 같습니다.


  • \[\text{Row}(A) = \text{Span}\Biggl( [1, -2, 2, 3, -1], [0, 0, 1, 2, -2] \Biggr) \tag{15}\]


  • 열공간의 기저는 다음과 같습니다.


  • \[\text{Col}(A) = \text{Span}\Biggl( \begin{bmatrix} -3 \\ 1 \\ 2 \end{bmatrix}, \begin{bmatrix} -1 \\ 2 \\ 5 \end{bmatrix} \Biggr) \tag{16}\]


  • 영공간의 기저는 다음과 같습니다.


  • \[x_{2} = a, x_{4} = b, x_{5} = c \tag{17}\]
  • \[x_{3} + 2x_{4} - 2x_{5} = 0 \tag{18}\]
  • \[x_{1} - 2x_{2} + 2x_{3} + 3x_{4} - x_{5} = 0 \tag{19}\]
  • 먼저 식 (18)을 이용하여 전개해 보겠습니다.


  • 다음으로 식 (19)를 이용하여 전개해 보겠습니다.


  • \[x_{1} - 2x_{2} + 2x_{3} + 3x_{4} - x_{5} = x_{1} -2a + 2(-2b + 2c) + 3b - c = 0 \tag{20}\]
  • \[x_{1} -2a -4b + 4c + 3b -c = 0 \tag{21}\]
  • \[x_{1} = 2a + b - 3c \tag{22}\]
  • \[\begin{bmatrix} x_{1} \\ x_{2} \\ x_{3} \\ x_{4} \\ x_{5} \end{bmatrix} = a \begin{bmatrix} 2 \\ 1 \\ 0 \\ 0 \\ 0 \end{bmatrix} + b \begin{bmatrix} 1 \\ 0 \\ -2 \\ 1 \\ 0 \end{bmatrix} + c \begin{bmatrix} -3 \\ 0 \\ 2 \\ 0 \\ 1 \end{bmatrix} \tag{23}\]


  • 따라서 영공간의 기저는 다음과 같습니다.


  • \[\text{Null}(A) = \text{Span}\left\{ \begin{bmatrix} 2 \\ 1 \\ 0 \\ 0 \\ 0 \end{bmatrix}, \begin{bmatrix} 1 \\ 0 \\ -2 \\ 1 \\ 0 \end{bmatrix}, \begin{bmatrix} -3 \\ 0 \\ 2 \\ 0 \\ 1 \end{bmatrix} \right\} \tag{24}\]


계수(Rank)의 정의


  • 계수 (Rank)는 \(m \times n\) 행렬 \(A\) 에 대하여 열공간의 차원을 행렬 \(A\) 의 계수라고 합니다. 즉, \(\text{rank}(A) = \text{dim}(\text{Col}(A))\) 가 성립하며 다음 성질을 가집니다.


  • ① \(\text{rank}(A)\) 는 사다리꼴 행렬에서 pivot의 갯수와 같다.
  • ② \(\text{rank}(A) + \text{dim}(\text{Null}(A)) = n\)
  • ③ \(\text{rank}(A) = \text{dim}(\text{Col}(A)) = \text{dim}(\text{Row}(A))\)


  • ② 에서 \(\text{rank}(A)\) 에서는 선행 변수의 갯수를 구할 수 있고 \(\text{dim}(\text{Null}(A))\) 에서는 자유 변수의 갯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. 이 두가지 변수를 합하면 전체 변수의 갯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. 이를 계수 정리라고 합니다.


  • 다음 예제를 통하여 행공간의 기저, 열공간의 기저, 행렬의 계수, 영공간의 기저 를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

  • \[A = \begin{bmatrix} 1 & 4 & 0 & 2 & -1 \\ 3 & 12 & 1 & 5 & 5 \\ 2 & 8 & 1 & 3 & 2 \\ 5 & 20 & 2 & 8 & 8 \end{bmatrix} \tag{25}\]


  • 위 식 (25)를 사다리꼴 행렬로 변경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


  • \[A \Rightarrow \begin{bmatrix} 1 & 4 & 0 & 2 & -1 \\ 0 & 0 & 1 & -1 & 8 \\ 0 & 0 & 1 & -1 & 4 \\ 0 & 0 & 2 & -2 & 13 \end{bmatrix} \tag{26}\]
  • \[\Rightarrow \begin{bmatrix} 1 & 4 & 0 & 2 & -1 \\ 0 & 0 & 1 & -1 & 8 \\ 0 & 0 & 0 & 0 & -4 \\ 0 & 0 & 0 & 0 & -3 \end{bmatrix} \tag{27}\]
  • \[\Rightarrow \begin{bmatrix} 1 & 4 & 0 & 2 & -1 \\ 0 & 0 & 1 & -1 & 8 \\ 0 & 0 & 0 & 0 & -4 \\ 0 & 0 & 0 & 0 & 0 \end{bmatrix} = \mathbb{R} \tag{28}\]


  • 식 (28)을 통하여 확인하였을 때, pivot은 1, 2, 3 행에 존재하고 1, 3, 5 열에 존재합니다.


  • 행공간의 기저를 구하기 위하여 식 (28) 의 \(\mathbb{R}\) 에서 기저를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

  • \[\text{Row}(A) = \text{Span}\Biggl( \begin{bmatrix} 1 & 4 & 0 & 2 & -1 \end{bmatrix}, \begin{bmatrix} 0 & 0 & 1 & -1 & 8 \end{bmatrix}, \begin{bmatrix} 0 & 0 & 0 & 0 & -4 \end{bmatrix} \Biggr) \tag{29}\]


  • 열공간의 기저는 앞선 설명에 따라 식 (28)의 피벗에 해당하는 열인 1, 3, 5 열을 식 (25)의 \(A\) 행렬에서 구합니다.


  • \[\text{Col}(A) = \text{Span}\Biggl( \begin{bmatrix} 1 \\ 3 \\ 2 \\ 5 \end{bmatrix}, \begin{bmatrix} 0 \\ 1 \\ 1 \\ 2 \end{bmatrix}, \begin{bmatrix} -1 \\ 5 \\ 2 \\ 8 \end{bmatrix} \Biggr) \tag{30}\]


  • 따라서 행렬의 계수는 \(rank(A) = 3\) 임을 알 수 있습니다.


  • 다음으로 영공간의 기저를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행렬의 계수가 3이므로 영공간의 기저는 2개임을 알 수 있습니다.


  • 식 (28)의 \(\mathbb{R}\) 을 이용하여 \(\mathbb{R}x = 0\) 을 전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

  • \[x_{1} + 4x_{2} + 2x_{4} - x_{5} = 0 \tag{31}\]
  • \[x_{3} - x_{4} + 8x_{5} = 0 \tag{32}\]
  • \[-4x_{5} = 0 \tag{33}\]


  • 식 (31), (32), (33) 을 풀면 다음과 같습니다.


  • \[\begin{bmatrix} x_{1} \\ x_{2} \\ x_{3} \\ x_{4} \\ x_{5} \end{bmatrix} = \begin{bmatrix} -4a-2b \\ a \\ b \\ b \\ 0 \end{bmatrix} \tag{34}\]


  • \[\text{Null}(A) = \left\{ \begin{bmatrix} x_{1} \\ x_{2} \\ x_{3} \\ x_{4} \\ x_{5} \end{bmatrix} \vert \begin{bmatrix} x_{1} = -4a-2b \\ x_{2} = a \\ x_{3} b \\ x_{4} b \\ x_{5} 0 \end{bmatrix} \right\}= \left\{ a \begin{bmatrix} -4 \\ 1 \\ 0 \\ 0 \\ 0 \end{bmatrix} + b \begin{bmatrix} -2 \\ 0 \\ 1 \\ 1 \\ 0 \end{bmatrix} \vert a, b \in R \right\} \tag{35}\]


  • 따라서 영공간의 기저는 다음과 같이 정리 됩니다.


  • \[\text{Null}(A) = \text{Span}\Biggl( \begin{bmatrix} -4 \\ 1 \\ 0 \\ 0 \\ 0 \end{bmatrix}, \begin{bmatrix} -2 \\ 0 \\ 1 \\ 1 \\ 0 \end{bmatrix}) \tag{36}\]



선형대수학 글 목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