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극 좌표계 (Polar Coordinate System)
2020, Aug 26
목차
극 좌표계의 정의
- 이번 글은 간단하게
극 좌표계 (Polar Coordinate)
에 관련된 내용을 다루어 보려고 합니다.
- 일반적으로 좌표계는 테카르트 좌표계 (직교 좌표계)를 사용합니다. 가로축이 xx 축이 되고 세로축이 yy 축이 되는 형태입니다.
- 하지만 물체의 이동 및 회전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면 데카르트 좌표계에서는 회전에 따른 x,yx,y 의 변화를 매번 계산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합니다.
- 따라서 회전 동작을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고안된 좌표계가 본 글에서 소개하는
극 좌표계 (Polar Coordinate System)
입니다.

- 극 좌표계는 위 그림과 같이 원점으로부터의 거리 rr 과 각 θθ 의 두 요소로 구성되며 극좌표계의 좌표는 (r,θ)(r,θ) 로 표시됩니다.
- 극 좌표계는 동심원의 형태로 평면의 모든 점을 표현할 수 있으며 주로 시간에 따른 회전의 움직임을 구현하기에 용이합니다.
- 데카르트 좌표계에서 표현된 벡터 (x,y)(x,y) 는 벡터의 크기와
arctan
함수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(r,θ)(r,θ) 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.
- r=√(x2+y2)r=√(x2+y2)(1)
- θ=atan2(y,x)θ=atan2(y,x)(2)
- 참고로 atan2(y,x)atan2(y,x) 는 1사분면에서의 atan(y/x)atan(y/x) 와 같습니다. 하지만 다른 사분면에서는 부호에 따라 값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
- 참고 : atan과 atan2 비교
atan
은 두 점 사이의 탄젠트 값을 받아 −π/2−π/2 ~ π/2π/2 범위의 라디안 값 (-90도 ~ 90도)을 반환하는 반면atan2
는 두 점 사이의 상대좌표 (x,y)(x,y) 를 받아 −π−π ~ ππ 범위의 라디안 값 (-180도 ~ 180도)의 라디안 값을 반환합니다.

-
- 또는 -의 부호가 표시되는 데카르트 좌표계에서는
atan2
를 사용하면 좌표값을 인자로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보통atan2
를 사용합니다.
- 또는 -의 부호가 표시되는 데카르트 좌표계에서는
- 반대로 극 좌표계의 좌표 (r,θ)(r,θ) 를 데카르트 좌표계 (x,y)(x,y) 로 변환하는 식은 삼각함수를 사용해 구할 수 있습니다.
- x=r⋅cos(θ)x=r⋅cos(θ)(3)
- y=r⋅sin(θ)y=r⋅sin(θ)(4)
- r2=x2+y2r2=x2+y2(5)
- tan(θ)=yxtan(θ)=yx(6)
- 위 식들을 이용하면 (x,y)(x,y) 와 (r,θ)(r,θ) 간의 변환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.

극 좌표계 활용 예시
- 다음과 같이 직교 좌표계에서 아래와 같은 직사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것은 매우 쉽습니다.

- 만약 다음과 같은 호의 넓이를 구할 때에는 극 좌표계를 사용하는 것이 좀 더 편할 수 있습니다.

- 앞에서 극 좌표계의 사용 목적이 회전 동작을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정의한 만큼 이와 같이 회전이 발생한 예시에서는 극 좌표계가 좀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.
- 부채꼴의 넓이를 구하기 위하여 미소 넓이인 dsds 를 적분하는 방식을 사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

- 아래와 같이 호의 길이 변화량과 반지름의 변화량으로 면적의 변화량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.
- ds=dr⋅(r⋅dθ)=r⋅dr⋅dθds=dr⋅(r⋅dθ)=r⋅dr⋅dθ
- compared to dx⋅dy in cartesian coordinate.compared to dx⋅dy in cartesian coordinate.
- 이 성질을 이용하여 가우스 적분을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. 아래 링크에서도 상세한 설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참조 : 가우스 적분 증명
- 다음과 같은 직교 좌표계에서의 적분은 사실상 사람이 직접 풀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.
- ∫∞−∞∫∞0e−(x2+y2)dxdy∫∞−∞∫∞0e−(x2+y2)dxdy
- 위 식에서 xx 의 범위는 0∼∞0∼∞ 이고 yy 의 범위는 −∞∼∞−∞∼∞ 입니다. 즉, 직교좌표계에서 1, 4 사분면 전체 영역에 대하여 적분을 해주는 것을 의미합니다.
- 극 좌표계로 변환한다면 rr 의 범위는 0∼∞0∼∞ 가 되고 θθ 의 범위는 90∘∼90∘90∘∼90∘ 가 됩니다. 따라서 다음과 같이 전개 가능합니다.
- ∫∞−∞∫∞0e−(x2+y2)dxdy=∫π2−π2∫∞0e−r2rdrdθ(∵r2=x2+y2)∫∞−∞∫∞0e−(x2+y2)dxdy=∫π2−π2∫∞0e−r2rdrdθ(∵r2=x2+y2)
- integration by substitution : r2=t→2rdr=dtintegration by substitution : r2=t→2rdr=dt
- ∫π2−π2∫∞0e−r2rdrdθ=12∫π2−π2∫∞0e−(t)dtdθ=π2∫∞0e−tdt=−π2[e−t]∞0=π2∫π2−π2∫∞0e−r2rdrdθ=12∫π2−π2∫∞0e−(t)dtdθ=π2∫∞0e−tdt=−π2[e−t]∞0=π2
- 이와 같은 방식으로 극 좌표계를 이용하면 회전하는 물체에 대한 계산을 쉽게 할 수 있습니다.